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4/04   »
1 2 3 4 5 6
7 8 9 10 11 12 13
14 15 16 17 18 19 20
21 22 23 24 25 26 27
28 29 30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차근차근

[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]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(3) 본문

대학교/자격증

[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]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(3)

SWKo 2020. 8. 13. 23:46

152. 인터넷

1. 인터넷의 개요

- 인터넷이란 TCP/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이다.

- 미 국방성의 ARPANET에서 시작되었다.

-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다.

- 통신망과 컴퓨터가 있는 곳이라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.

-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고유한 IP 주소를 갖는다.

-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브리지, 라우터, 게이트웨이가 사용된다.

- 다른 네트워크 또는 같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로, 보통 인터넷의 주가 되는 기간망을 일컫는 용어를 백본(Backbone)이라고 한다.

 

2. IP 주소(Internet Protocol Address)

-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이다.

- 숫자로 8비트씩 4부분, 총 32비트로 구성

-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에 따라 A 클래스에서 E 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.

- A Class

      - 국가나 대형 통신망에 사용

      - 0~127로 시작

      - 2^24개의 호스트 사용 가능

- B Class

      - 중대형 통신망에 사용

      - 128~191로 시작

      - 2^16개의 호스트 사용 가능

- C Class

      - 소규모 통신망에 이용

      - 192~223로 시작

      - 2^8개의 호스트 사용 가능

- D Class

      - 멀티캐스트(한 명 이상의 송신자들이 특정한 한 명이상의 수신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)용으로 사용

      - 224~339로 시작

- E Class

      - 실험적 주소이며 공용되지 않음

 

3. 서브네팅(Subnetting)

- 서브네팅은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.

- 4바이트의 IP 주소 중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라고 하며, 이를 변경하여 네트워크 주소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사용한다.

- 서브넷 마스크는 각 클래스마다 다르게 사용한다.

 

4. IPv6(Internet Protocol version 6)의 개요

- IPv6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.

- 128비트의 긴 주소를 사용하여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, IPv4에 비해 자료 전송 속도가 빠르다.

- 인증성, 기밀성, 데이터 무결성(인가된 사용자만 수정 가능)의 지원으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

- IPv4와 호환성이 뛰어나다.

- 주소의 확장성, 융통성, 연동성이 뛰어나며,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.

- Traffic Class, Flow Label 을 이용하여 등급별, 서비스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품질 보장이 용이하다.

 

5. IPv6의 구성

- 16비트씩 8부분,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.

- 각 부분을 16진수로 표현하고, 콜론(:)으로 구분한다.

- IPv6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소 체계로 나누어진다.

- 유니캐스트 : 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(1 대 1 통신)

- 멀티캐스트 : 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간의 통신(1 대 다 통신)

- 애니캐스트 : 단일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(1 대 1 통신)

 

6. 도메인 네임(Domain Name)

- 도메인 네임숫자로 된 IP 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.

- 호스트 컴퓨터 이름, 소속 기관 이름, 소속 기관의 종류, 소속 국가명 순으로 구성되며,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상위 도메인을 의미한다.

-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DNS(Domain Name System)라고 하며 이런 역할을 하는 서버를 DNS 서버라고 한다.

- www.hankook.co.kr 에서 www은 호스트 컴퓨터 이름, hankook은 소속 기관 이름, co는 소속 기관 종류, kr은 소속 국가이다.

 

핵심

- A, B, C 클래스만이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 체계의 구조를 가진다.

- D 클래스 주소는 멀티캐스팅을 사용하기위해 예약되어 있다.

- E 클래스는 실험용으로 공용되지 않는다.

- IPv6은 128비트

- DNS : IP주소와 호스트 이름 간의 변환을 제공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

- 서브넷 마스크 : IP Address에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별하는 방식


153. OSI 참조 모델

1. OSI(Open System Interconnection) 참조 모델의 개요

- OSI 참조 모델은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(국제 표준화 기구)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(Protocol)이다.

- 개방형 시스템간의 데이터 통신 시 필요한 장비 및 처리 방법 등을 7단계로 표준화하여 규정했다.

- OSI 7계층은 1~3계층을 하위 계층, 4~7계층을 상위 계층이라 한다.

- 하위 계층 : 물리 계층, 데이터 링크 계층, 네트워크 계층

- 상위 계층 : 전송 계층, 세션 계층, 표현 계층, 응용 계층

 

2. OSI 참조 모델의 목적

-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개념을 규정한다.

- OSI 규격을 개발하기 위한 범위를 정한다.

- 관련 규정의 적합성을 조절하기 위한 공통적 기반을 제공한다.

 

3. OSI 참조 모델에서의 데이터 단위

-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(PDU; Protocol Data Unit) : 동일 계층 간에 교환되는 정보의 단위

- 물리 계층 : 비트

- 데이터 링크 계층 : 프레임

- 네트워크 계층 : 패킷

- 전송 계층 : 세그먼트

- 세션, 표현, 응용 계층 : 메시지

- 서비스 데이터 단위(SDU; Service Data Unit) : 서비스 접근점(SAP)을 통해 상하위 계층끼리 주고받는 정보의 단위이다.

 

4.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

- 물리 계층은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, 전기적, 기능적,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

- RS-232C 등의 표준이 있다.

- 관련 장비 : 리피터, 허브

 

5.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

-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.

-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흐름 제어 기능을 한다.

-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한 프레임의 동기화 기능을 한다.

- 오류 검출과 회복을 위한 오류 제어 기능을 한다.

- 프레임의 순서적 전송을 위해 순서 제어 기능을 한다.

- HDLC, LAPB, LLC 등의 표준이 있다.

- 관련 장비 : 랜카드, 브리지, 스위치

 

6.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

-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기능과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기능을 한다.

-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, 유지,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.

- 경로 설정(Routing), 데이터 교환 및 중재, 트래픽 제어, 패킷 정보 전송을 수행한다.

- IP 등의 표준이 있다.

관련 장비 : 라우터

 

7.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
- 논리적 안정과 균일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단 시스템(End-to-End) 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.

- OSI 7계층 중 하위 3계층과 상위 3계층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.

- 종단 시스템 간의 전송 연결 설정, 데이터 전송, 연결 해제 기능을 한다.

- 주소 설정, 다중화, 오류 제어, 흐름 제어를 수행한다.

- TCP, UDP 등의 표준이 있다.

- 관련 장비 : 게이트웨이

 

8. 세션 계층(Session Layer)

- 송수신 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한다.

- 대화 구성 및 동기 제어, 데이터 교환 관리 기능을 한다.

- 송수신 측 간의 대화 동기를 위해 전송하는 정보의 일정한 부분에 체크점을 두어 정보의 수신 상태를 체크하며, 이때의 체크점을 동기점(Synchronization Point)이라고 한다.

- 동기점은 오류가 있는 데이터의 회복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, 종류에는 소동기점과 대동기점이 있다.

 

9.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

- 응용 계층으로부터 받은 세션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보내기 전에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하고,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 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.

- 서로 다른 데이터 표현 형태를 갖는 시스템 간의 상호 접속을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.

- 코드 변환, 데이터 암호화, 데이터 압축, 구문 검색, 정보 형식 변환, 문맥 관리 기능을 한다.

 

10.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
-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.

-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, 전자 사서함, 파일 전송, 가상 터미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.

 

핵심

- 물리 -> 데이터 링크 -> 네트워크 -> 전송 -> 세션 -> 표현 -> 응용

-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 계층의 신뢰도를 높여주고 링크의 확립 및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

- End-to-End 통신은 전송계층

- 대화 제어는 세션계층

- 경로 배정(라우팅)은 네트워크계층

- 암호화, 코드변환은 표현(Presentation)계층

- 오류 수정, 흐름 제어, 신뢰성 있고 명확한 데이터 전달은 전송 계층


154. 네트워크 관련 장비

1.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(NIC; Network Interface Card)
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, 정보 전송 시 정보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형태를 변경한다.

- 이더넷 카드(LAN 카드) 혹은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한다.

 

2. 허브(Hub)

-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,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,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한다.

- 허브의 종류에는 더미 허브, 스위칭 허브가 있다.

- 더미 허브(Dummy Hub)

      - 네트워크에 흐르는 모든 데이터를 단순히 연결하는 기능만을 제공

      -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컴퓨터 수만큼 나누어 제공

      -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노드를 물리적인 성형 구조로 연결

- 스위칭 허브(Switching Hub)

      - 네트워크상에 흐르는 데이터의 유무 및 흐름을 제어하여 각각의 노드가 허브의 최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는 지능형 허브이다.

      - 최근에 사용되는 허브는 대부분 스위칭 허브이다.

 

3. 리피터(Repeater)

- 리피터는 전송 신호가 원래 형태와 다르게 왜곡되거나 약해질 경우 원래의 신호 형태로 재생하여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

-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

- 근접한 네트워크 사이에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로, 전송 거리의 연장 또는 배선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.

 

4. 브리지(Bridge)

- 브리지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.

- 데이터 링크 계층 중 MAC(Media Access Control) 계층에서 사용되므로 MAC 브리지라고도 한다.

- 네트워크 상의 많은 단말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다.

- 네트워크를 분산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.

- 브리지를 이용한 서브넷(Subnet) 구성 시 전송 가능한 회선 수는 브리지가 n개일 때 nC2개이다.

 

5. 스위치(Switch)

- 스위치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이다.

-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처리하므로 전송 속도가 빠르다.

- 포트마다 각기 다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, 수십에서 수백 개의 포트를 제공한다.
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한다.

 

6. 라우터(Router)

- 라우터는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의 연결 기능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, 서로 다른 LAN이나 LAN과 WAN의 연결도 수행한다.

-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다.

- 접속 가능한 경로에 대한 정보라우팅 제어표에 저장하여 보관한다.

- 3계층까지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.

 

7. 게이트웨이(Gateway)

- 게이트웨이는 전 계층(1~7계층)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한다.

- 세션 계층, 표현 계층, 응용 계층 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, 주소 변환, 프로토콜 변환 등을 수행한다.

- LAN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출입구 역할을 한다.

 

8. 네트워크 장비 설치 시 고려 사항

- 증설 고려하여 설계

- 최신 버전 선정

- 트래픽 분산시킬 수 있도록 설계

- 네트워크 관리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설계

- 장애 발생 시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여유 포트를 고려하여 설계

- 미래 지향적인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

 

핵심

- 허브, 리피터는 물리계층

- 브리지,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

-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

- 게이트웨이는 전송 계층


155. 프로토콜의 개념

1. 프로토콜(Protocol)의 정의

-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이다.

-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 규칙과 절차의 집합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, 문서를 모두 규정한다.

 

2.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

- 구문 :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, 부호화, 신호 레벨 등을 규정

- 의미 :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

- 시간 :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,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

 

3. 프로토콜의 기능

- 단편화와 재결합

      - 송신측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자르는 것을 단편화라고 하고, 수신 측에서 모으는 것을 재결합이라고 한다.

      - 단편화를 통해 세분화된 데이터 블록을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(PDU; Protocol Data Unit)이라고 한다.

      - 데이터를 단편화하여 전송하면 전송 시간이 빠르고, 통신 중 오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.

      - 너무 작은 블록으로 단편화하면 비효율적이다.

- 캡슐화

      - 캡슐화는 단편화된 데이터에 송수신지 주소, 오류 검출 코드, 프로토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콜 제어 정보 등의 정보를 부가하는 것으로, 요약화라고도 한다.

      - 대표적인 예가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의 HDLC 프레임이다.

      - 정보 데이터를 오류 없이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해 캡슐화 한다.

- 흐름제어

      - 흐름제어는 수신 측의 처리 능력에 따라 송신 측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이다.

      - 정지-대기,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이용

- 오류제어

      - 오류제어는 전송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

- 동기화

      - 동기화는 송수신측이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타이밍을 맞추는 기능

- 순서 제어

      - 순서 제어는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(PDU)에 전송 순서를 부여하는 기능으로, 연결 위주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만 사용된다.

      - 송신 데이터들이 순서적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흐름 제어 및 오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.

- 주소 지정

      - 주소 지정은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도록 목적지 이름, 주소, 경로를 부여하는 기능

- 다중화

      - 다중화는 한 개의 통신 회선을 여러 가입자들이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이다.

- 경로 제어

      - 송수신 측 간의 송신 경로 중에서 최적의 패킷 교환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

- 전송 서비스

      -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사용하도록 하는 별도의 부가 서비스

      - 우선순위 : 우선순위가 높은 메시지가 먼저 도착하도록 한다.

      - 서비스 등급 : 데이터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등급을 부여하여 서비스한다.

      - 보안성 : 액세스 제한과 같은 보안 체제를 구현한다.

 

핵심

- 프로토콜 : 정보 전송의 통신 규약

-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: 구문, 타이밍, 의미

- 캡슐화할 때 제어 정보 : 주소, 오류 검출 코드, 프로토콜 제어


156. TCP/IP

1. TCP/IP의 개요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/Internet Protocol)

- TCP/IP는 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.

- ARPANET에서 사용하기 시작함

- UNIX의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되었고, 현재 인터넷 범용 프로토콜로 사용됨

- TCP/IP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TCP 프로토콜과 IP 프로토콜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.

- TCP

      - 전송 계층에 해당

      - 신뢰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

      - 패킷의 다중화, 순서 제어, 오류 제어,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

      - 스트림(Stream) 전송 기능 제공

      - TCP 헤더에는 Source/Destination Port Number, Sequence Number, Ack Number, CheckSum 등이 포함된다.

- IP

      -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

      - 데이터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

      - 패킷의 분해/조립, 주소 제어, 주소 지정, 경로 선택 기능을 제공

      - 헤더의 길이는 20~60Byte

      - IP 헤더이네는 Version, Header Length, Destination IP Address 등이 포함된다.

 

2. TCP/IP의 구조

- TCP/IP는 응용 계층, 전송 계층, 인터넷 계층,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.

- TCP/IP의 응용 계층(OSI의 응용계층, 표현계층, 세션계층) 

      -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 제공

      - TELNET, FTP, SMTP, SNMP, DNS, HTTP 등

- TCP/IP의 전송 계층(OSI의 전송 계층)

      -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

      - TCP, UDP

- TCP/IP의 인터넷 계층(OSI의 네트워크 계층)

      -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, 경로 설정을 제공

      - IP, ICMP, IGMP, ARP, RARP

- TCP/IP의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(OSI의 데이터 링크 계층, 물리 계층)

      -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

      - Ethernet, IEEE 802, HDLF, ARQ 등

 

3. 응용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

- FTP(File Transfer Protocol) :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

- SMTP(Simple Mail Tranfer Protocol) : 전자우편을 교환하는 서비스

- TELNET : 원격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, 가상 터미널 기능 수행

- SNMP(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) : TCP/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, 라우터나 허브 등 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보내는 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규약

- DNS(Domain Name System) :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매핑하는 시스템

-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 : 월드 와이드 웹(WWW)에서 HTML 문서를 송수신 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

 

4. 전송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

-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

      - 양방향 연결형 서비스 제공

      - 가상 회선 연결 형태의 서비스 제공

      - 스트림 위주의 전달(패킷 단위)을 한다.

      - 신뢰성 있는 경로를 확립하고 메시지 전송을 감독

      - 순서 제어, 오류 제어, 흐름 제어 기능을 한다.

      - 패킷의 분실, 손상, 지연이나 순서가 틀린 것 등이 발생할 때 투명성이 보장되는 통신을 제공

- UDP(User Datagram Protocol)

      -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

      - 단순한 헤더구조, 오버헤드가 작음

      - 빠른 속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, 동시에 여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경우, 정기적으로 반복해서 전송할 경우에 사용

      - 실시간 전송에 유리하며, 신뢰성보다는 속도가 중요시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.

      - 헤더에는 Source Port Number, Checksum 등이 포함

- RTCP(Real-Time Control Protocol)

      - RTP 패킷의 전송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

      - 세션에 참여한 각 참여자들에게 주기적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

      - 하위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과 제어 피킷의 다중화를 제공한다.

      -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고 최소한의 제어와 인증 기능만을 제공

      - 항상 32비트의 경계로 끝난다.

 

5. 인터넷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

- IP(Internet Protocol)

      - 전송할 데이터에 주소를 지정하고,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

      -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음

- 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

      - IP와 조합하여 통신중에 발생하는 오류 처리

- IGMP(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)

      - 멀티캐스트 그룹 유지를 위해 사용된다.

- 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
      - IP 주소를 물리적 주소로 바꾼다.

- RARP(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)

      - 물리적 주소를 IP 주소로 바꾼다.

 

6.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

- Ethernet : CSMA/CD 방식의 LAN

- IEEE 802 : LAN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

- HDLC : 비트 위주의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

- X.25 : 패킷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

- RS-232C :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

 

핵심

- TCP은 스트림 위주의 전송

- 인터넷 프로토콜 아키텍처 4계층 : 응용 계층, 전송 계층, 인터넷 계층,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

- ARP : IP주소를 MAC주소로 변환, RARP : MAC주소를 IP주소로 변환

- RTCP(Real-Time Control Protocol) : 항상 32비트의 경계로 끝난다, 하위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과 컨트롤 패킷의 멀티 플렉싱을 제공, 세션의 모든 참여자에게 컨트롤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, 최소한의 제어와 인증 기능 제공

Comments